-
반응형
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한 인구 자연 감소로, 전국 시군구 10곳 중 8곳에서는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많다?!
통계청 국가통계포털(KOSIS)에 따르면 2021년 기초자치단체(시군구) 등 228곳 가운데 인구 자연 감소를 기록한 곳이 전체 79.8%인 182곳으로 나타났습니다. 다시 말해 182곳에서는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많았다는 의미로, 10년 전인 2011년에는 인구 자연 감소 지역이 88곳(38.4%)인 것에 비하면 2배나 늘어났습니다.
지역별로 보는 통계
2011년 서울에서는 자연 감소가 일어난 자치구가 한 곳도 없었지만 2021년 서울 25곳 가운데 16곳(64%)에서 인구 자연 감소가 일어났습니다.
부산은 2011년 16곳 중 4곳(25%)에서 2021년 14곳(87.5%)로 늘어났습니다. 대구는 0에서 87.5%로, 인천 10에서 80%, 광주 0에서 80%, 대전 0에서 60%로 세종시를 제외하고 모든 시도에서 인구 자연 감소 비중이 증가하였습니다.
<시도별 인구 자연 감소 비중>
2011년 2021년 시도 전체(곳) 감소(곳) 비중(%) 전체(곳) 감소(곳) 비중(%) 전국 229 88 38.4 228 182 79.8 서울 25 0 0 25 16 64 부산 16 4 25 16 14 87.5 대구 8 0 0 8 7 87.5 인천 10 1 10 10 8 80 광주 5 0 0 5 4 80 대전 5 0 0 5 3 60 울산 5 0 0 5 2 40 세종 - - - 1 0 0 경기 31 3 9.7 31 14 45.2 강원 18 9 50 18 18 100 충북 12 6 50 11 10 90.9 충남 16 10 62.5 15 13 86.7 전북 14 10 71.4 14 14 100 전남 22 17 77.3 22 21 95.5 경북 23 17 73.9 23 22 95.7 경남 18 11 61.1 18 15 83.3 제주 1 0 0 1 1 100 인구 자연 감소 현상은 언제부터?
우리나라는 저출생 현상이 지속되면서 2020년부터 자연 감소로 전환했는데요. 그 폭이 2020년 3만 3천 명에서 2021년 5만 7천 명, 2022년 잠정치는 12만 4천 명으로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.
<자연증가건수(2019.7~2022.9)>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