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주말에 봐야할 영화 - 세계적으로 흥행한 영화 Top 10

안녕하세호 2023. 5. 25. 17:01
반응형

영화 보려고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 들어가면 막상 무슨 영화를 봐야 할지 너무 막막하시죠? 이번 주말에는 역대 흥행 영화 중에서 지금까지 못 봤던 영화를 보시는 건 어떨까요?

10위 겨울왕국 2(Frozen 2)

렛잇고~ OST 맛집이자 전세계 아이부터 어른까지 사로잡았던 겨울왕국 2가 역대 흥행 영화 10위입니다.

개봉: 2019년 11월

제작비: 1억 5천만 달러

수익: 14억 5천만 달러

총 관람객: 14억 이상 (미국 21%, 중국 6%, 영국 5%)

9위 분노의 질주: 더 세븐(Furious 7)

주인공 ‘폴 워커’의 유작으로 알려진 분노의 질주 7이 9위인데요. 폴 워커는 영화 촬영 중 사망하여 영화 후반부에는 CG처리 및 친동생이 연기하여 마무리했다고 합니다.

개봉: 2015년 4월

제작비: 1억 9천만 달러

수익: 15억 2천만 달러

총 관람객: 15억 이상(미국 21%, 중국 34%, 영국 4%)

8위 어벤져스(The Avengers)

어벤져스 첫 번째 시리즈로 어벤져스의 서사와 함께 엔드게임의 추억과 감동을 되새기기 위해서는 반드시 봐야 할 영화입니다.

어벤져스

개봉: 2012년 4월

제작비: 2억 2천만 달러

수익: 15억 2천만 달러

총 관람객: 15억 이상(미국 27%, 중국 4%, 영국 6%)

7위 라이온 킹(The Lion King)

디즈니 애니메이션 최초의 순수 각본 에니메이션으로, 어린 사자 삼바가 아직도 눈에 아른거리는 라이온 킹이 7위입니다.

라이온_킹

개봉: 2019년 7월

제작비: 2억 6천만 달러

수익: 16억 6천만 달러

총 관람객: 16억 이상(미국 25%, 중국 8%, 영국 6%)

6위 쥬라기 월드(Jurassic World)

쥬라기 공원 3 이후 14년 만에 개봉된 쥬라기 월드로 이름을 바꾼 4번째 시리즈로, 스케일이나 긴장감 역시 이름만큼 공원에서 월드로 엄청나게 확장하였습니다.

쥬라기_월드

개봉: 2015년 6월

제작비: 1억 5천만 달러

수익: 16억 7천만 달러

총 관람객: 16억 이상(미국 18%, 중국 23%, 영국 5%)

5위 어벤져스: 인피니티 워(Avengers: Infinity War)

최강 빌런 타노스에 맞서기 위해 20명 이상의 히어로들이 총 출동하는 마블의 걸작으로 인피니트워가 5위를 차지하였습니다.

어벤져스_인피니티_워

개봉: 2018년 4월

제작비: 3억 1600만 달러

수익: 20억 4천만 달러

총 관람객: 20억 이상(미국 25%, 중국 16%, 영국 6%)

4위 스타워즈: 깨어난 포스(Star Wars: The Force Awakens)

10년 만에 개봉한 스타워즈 7번째 시리즈로 많은 골수팬을 만족시킨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가 4위를 차지하였습니다.

스타워즈_깨어난_포스

개봉: 2015년 12월

제작비: 2억 4,500만 달러

수익: 20억 7천만 달러

총 관람객: 20억 이상(미국 22%, 영국 7%, 중국 6%)

3위 타이타닉(Titanic)

이 영화를 안 본 사람이 부럽다는 감명깊은 명화, 관람객들의 평점과 호평이 넘쳐나는 타이타닉이 3위를 차지하였습니다.

타이타닉

개봉: 1998년 2월

제작비: 2억 달러

수익: 21억 9천만 달러

총 관람객: 21억 이상(미국 25%, 중국 8%, 영국 7%)

2위 어벤져스: 엔드게임(Avengers: Endgame)

아이언맨으로 시작해서 아이언으로 끝났던 마블의 22번째 작품. 3000만큼 사랑하고 기억합니다.

어벤져스_엔드게임

개봉: 2019년 4월

제작비: 3억 5,600만 달러

수익: 27억 9천만 달러

총 관람객: 28억 이상(미국 23%, 중국 20%, 영국 6%)

1위 아바타(Avatar)

영화사의 한 획을 그은 거장 거장 제임스 카메론의 아바타가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.

아바타

개봉: 2009년 12월
제작비: 2억 3천 7백만 달러

수익: 28억 달러

총 관람객: 28억 이상(미국 20%, 중국 15%, 영국 7%)

반응형